hapkids 2016. 8. 15. 19:17

 

광복절이다.

 

광복절은 우리나라가 1945815일에 일본에서 벗어나 독립한 날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날이다. 우리나라 4대 국경일의 하나로, 1949년에 제정되었다. 이날은 독립 기념관에서 기념식을 한다. 또 전국적으로 축하 행사가 열리며, 가정에서는 국기를 단다.

_______

 

난 역사를 잘 모른다. 하지만 광복절이라 아는만큼 정리해 본다.

 

일제 강점기는 1910829~ 1945815일이다. 그 기간 우리는 일본 제국의 영토였다. 제국주의는 특정국가가 다른 나라, 지역 등을 군사적, 정치경, 경제적으로 지배하려는 정책, 또는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상을 말한다.(위키백과)

 

일본의 제국주의는 현재 진행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선진국이라 일컬어지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아직도 고통이 진행되고 있다. 말콤 글래드웰은 이것을 유산, 소멸 이후에도 살아남는 문화적 유산의 힘이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심화되는 듯도 하다.(우리의 갈등을 보면 더욱 그렇다)

 

제국주의의 최악의 인물은 벨기에의 2대 국왕 레오폴드 2세이다. 그는 제국주의의 흐름에 따라 식민지를 얻으려 상당한 노력을 한 것 같다. 처음 스페인에게 필리핀을 구입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콩고를 넘보게 된다. 처음 인도주의적인 척 지리학 회담 등으로 밑장을 깔고 적극적으로 그리고 국제사기를 치며 콩고이 지배권을 갖게 된다. 그리고 역사상 가장 협오스러운 죄악을 저지른다.(콩고의 고무농장은 그가 인간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영국도 인도에서 더 심한 짓을 했다.

 

결국 제국주의는 시장경제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자원-생산-소비의 순환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원도 소비도 한 국가에서 이루어 질 수 없었다. 특히 유럽 국가들이 그렇다. 프랑스의 아이티에 대한 악날함 역시 유명하다.(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99119) 때문에 일본을 우리가 미워하고 필요이상으로 감정적이 되는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 수 있다.

 

일본은 희한한 나라다. 원자탄을 맞기 전까지 한번도 정복된 적이 없다.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을 이룬 몽고도 일본을 정벌하지 못했다.(정복자 정복지/키로미터, 알렌산드로스 330, 나폴레옹 110, 징기즈칸 1,930) 쿠빌라이칸은 4만 정도의 병력을 파견 간단하고 첫 전트에서 압승을 거둔 후 다음 싸움을 준비하다(일본의 전투방식은 1:1의 사무라이식 전투지만 몽골은 그렇지 않다. 유럽에서도 그러한 전투방식이 큰 승리를 만든다) 폭풍에 1/4의 병사를 잃고 다음 원정에는 14만의 병력을 파견했으나 폭풍에 다시 2/3이상이 수장당하고 포기한다. 이 폭풍을 신풍(, 가미가제)라고 불렀다.

 

그렇게 일본대표하는 정신이 사무라이인데 국민의 고작 2%였다고 한다. 사무라이 계급은 메이지유신의 일환으로 폐도명령이 내려지고 이는 반란으로 이어졌으나(바람의 검신이라는 만화의 배경이다) 총에는 당할 수 없었다.(무댓뽀라는 말이 총이 없이 거리를 다닌다 무모함의 일본식 표현이다) 이 무렵 한 사무라이는 사업가로 전향 정부로부터 헐값에 증기선을 사들여 해운회사를 설립하고 일본군의 원정에 이용하여 부를 쌓는다. 이 회사가 대표적 전범기업 미쓰비시다.

 

이후 근대화를 이룬 일본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국가들에게 끼친 피해를 돈 몇 푼으로 면해보려는 것은 인류에 대한 모독이다. 독일은 지금도 사과를 계속하고 반성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아웃라이어에서 선조들의 유산은 소멸해도 문화적으로 살아남는다고 한다. 우리의 갈등 그리고 선조의 좋은 문화 단절은 그들의 지배가 만들어낸 가장 큰 무형의 피해다.

 

기억해야 한다. 물론 관용도 필요하다. 그 관용은 대상에 따라 다르게 봐야하지 싶다.

 

_______

 

주요 연대 및 주요사항은 아래와 같다.

연대 주요사항

1905 을사늑약

1907 국채 보상 운동헤이그 특사 사건군대 해산신민회 설립

1909 의병의 서울 진공작전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저격

1910 일본, 국권 강탈

1914 대한 광복군 정부수립1차 세계 대전 (~ 1918)

1919 3 · 1 운동

1920 청산리 대첩

1926 6 · 10 만세 운동

1927 신간회 조직

1929 광주 학생 운동

1932 이봉창 의거윤봉길 의거

1938 일제, 한글 교육 폐지

1939 2차 세계 대전(~ 1945)

1940 한국광복군 결성

1943 카이로 선언테헤란 회담

1945 포츠담 선언유엔 성립얄타 협정일본 항복민족의 광복모스크바 삼상 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