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엡스타인
- 기생충 #영화보고 #영화평 #죄송해요
- 카뮈
- ml24
- 일기 일기장에 써야 제맛 #흑백사진 #필름사진
- #인공지능
- #로봇의 부상
- 이방인
- 직무적합성
- 심층학습
- Provia100F
- 늦깍이천재들의비밀
- 에드아스트라 #영화 #SF
- 노동의종말 #제러미리프킨
- 늦깍이
- Yashica
- Today
- Total
소소심심한한 블로그
도덕의 기원 본문
* 영장류학자가 밝히는 도덕의 탄생과 진화
마이클 토마셀로 저/유강은 역 | 이데아 | 2018년 08월 13일
인간이 상호 협력적 상황에서 공정과 공감의 필요에 도덕이 생겨났다고 한다. 이 단계에서는
하지만 집단의 복잡성이 증가하며 이를 전승하거나 공유하는 문화로 발전하였다고 본다.
즉,
먼저 '협동'이 생겨나고(새로운 사회적환경에 대한 개인들의 상호의존)
다음 '문화'가 발생하였다. (집단의 동료가 동등한 자격이 있는지 인식하는 단계)
단계로 본다면
1단계 : 초기인류에게 공동지향성이라는 인지적 기술과 동기가 발생(공정감각)
2단계 : 역할이상을 인식하며(역할에 대한 이상적인 방식을 공동지반 위에서 이해함)
3단계 : 2인칭의 감각이 생겨났다. (협력적 파트너에 대한 감각, 상호존중, 공정감각)
4단계 : 문화/집단지향성 발생 (집단생활, 인구목적의 변화 등)
5단계 : 헌신의 감각/문화, 역사시대 도래 (사회규범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학습과 성장, 문화적 정체성과 감각이 생겨남)
결국 도덕적 규범의 정당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위와 같고,
- 개인은 해당 문화에 동질감을 느끼고, 문화의 공동저작자에게 신뢰를 위임하며,
- 자신과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느끼는 문화적 동료들에게 자신의 협력을 주거나 받을 수 있다고 느끼는 집단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현대 인류문화의 합리성은 자신의 개인적 행위에 대한 통제의 상당부분을 자신이 속한 집단의 관습, 규범, 제도에 대한 순응, 양도한다.
최근 본 영화 '기생충'이 좋은 사례일 수 있겠다.
영화가 불편한 이유가 우리가 위힘한 신뢰를 배반하는 행위들이 중심이기 때문이다.
'서재 > 인문,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무리」마크 모펫, 김영사, 2020. 8. 13 (0) | 2021.05.18 |
---|---|
이방인 (알베르 카뮈) (0) | 2019.07.04 |
정체성, 나는 누구인가 (0) | 2017.03.14 |
[창의성의 즐거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0) | 2016.08.05 |
[도서] 로봇의 부상 ; 인공지능의 진화와 미래의 실직위험 (0) | 2016.06.28 |